망누스 1세 (스웨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누스 1세는 덴마크 국왕 닐스와 마르가레타 프레드쿨라의 아들로, 1125년 사촌 잉에 2세의 사망으로 스웨덴 국왕으로 추대되었다. 그는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3세의 딸 리체자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으며, 1131년 덴마크 왕위 경쟁자인 크누드 라바르를 살해하여 덴마크 내전을 촉발했다. 이로 인해 1132년 스웨덴 왕위에서 물러났고, 1134년 포테비크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했다. 그의 아들 크누드 5세는 덴마크 왕위를 놓고 다투다 사망하여 망누스 1세의 직계는 단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06년 출생 - 정중부
정중부는 고려 시대 무신으로, 이의방 등과 무신정변을 일으켜 무신정권 시대를 열었으나 부패와 사치로 민심을 잃고 경대승의 쿠데타로 처형된 인물이다. - 1106년 출생 - 신제이
신제이는 헤이안 시대 말기의 관료이자 학자로, 호겐의 난에서 승리하여 권력을 휘둘렀으나, 권력 남용으로 반발을 사 헤이지의 난 때 암살당했다. - 1134년 사망 - 헝가리의 이리니
헝가리의 이리니는 헝가리 국왕 라슬로 1세의 딸로, 비잔틴 제국의 황제 요한 2세 콤네노스와 결혼하여 동로마 제국의 황후가 되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수도원을 건립하고 1134년 사망 후 성녀로 추대되었다. - 1134년 사망 - 닐스 (덴마크)
닐스는 스벤 2세의 사생아로 1104년부터 1134년까지 덴마크 국왕이었으나, 왕위 계승 문제와 크누드 라바르 살해로 내전이 발발하여 포테비크 전투에서 패배 후 살해당하며 스벤 2세 아들들의 시대가 끝나고 에리크 2세가 왕위를 이었다. - 기트인의 왕 - 위글라프
위글라프는 서사시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인물로, 베오울프와 함께 드래곤과 싸우고 베오울프의 유언에 따라 왕위를 계승하는 충성심과 용기의 상징이다. - 기트인의 왕 - 잉에 1세 (스웨덴)
스텡킬 왕조 출신인 잉에 1세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며 이교 의식 집행을 거부하다 추방되었으나 블로트 스벤을 살해하고 왕위를 되찾았고, 노르웨이와의 분쟁을 해결한 후 사망하여 필리프에게 왕위를 계승했다.
망누스 1세 (스웨덴)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망누스 닐손 |
스웨덴어 이름 | Magnus Nilsson |
덴마크어 이름 | Magnus Nielsen |
통치 정보 | |
칭호 | 스웨덴 국왕 |
재위 기간 | 1120년대 – 약 1132년 |
선임자 | 잉에 2세 |
후임자 | 스베르케르 1세 |
공동 통치자 | 덴마크 국왕 |
공동 통치 기간 | 1134년 4월 15일 – 1134년 6월 4일 |
대관식 | 1134년 4월 15일 |
선임 국왕 | 닐스 |
왕가 | 에스트리센 가문 |
개인 정보 | |
출생 | 약 1106년 |
사망 | 1134년 6월 4일 |
사망 장소 | 스웨덴, 스코네, 포테비크 |
배우자 | 리키사 포란드 공주 |
자녀 | 크누드 5세 |
아버지 | 닐스 1세 |
어머니 | 마르가레타 프레드쿨라 |
2. 생애
망누스 1세는 에스트리센가 출신으로, 덴마크의 닐스 국왕과 그의 아내인 마르가레타 프레드쿨라의 아들로 태어났다. 1125년 자신의 사촌인 잉에 2세가 사망하면서 스웨덴의 국왕으로 추대되었다.
1127년경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3세(Bolesław III) 공작의 딸인 리헤자(Richeza)와 결혼했으며 슬하에 아들 크누드와 닐스(Niels)를 두었다. 1130년에는 볼레스와프 3세의 지원을 통해 뤼겐 섬을 정복했다.
덴마크의 왕위 계승 과정에서 닐스 국왕은 자신의 아들인 망누스를 지지했다. 1131년 망누스는 크누드 라바르를 살해했지만 이는 덴마크 내전을 촉발시켰다. 1132년경 망누스는 스웨덴 왕위에서 물러났고 스베르케르 1세가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했다.
1134년 6월 4일 스코네에서 일어난 포테비크 전투에서 망누스와 닐스 부자는 에리크 에무네에게 패배했다. 망누스 1세는 이 전투에서 사망했고, 닐스 국왕 또한 1134년에 살해당했다.[1]
2. 1. 초기 생애
에스트리센가 출신으로, 덴마크의 닐스 국왕과 그의 아내인 마르가레타 프레드쿨라 사이에서 태어났다.[19] 잉에 1세의 딸인 마르가레타 프레드쿨라는 망누스의 어머니였다.망누스는 키가 크고 강인한 청년으로 성장했다. 연대기에는 그의 정치적 선택에 따라 망누스의 성격에 대해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로스킬레 연대기에서는 망누스를 유쾌하고 관대하며 "견실함을 좋아하는 성격"이었다고 평가하는 반면, 삭소 그라마티쿠스는 망누스가 타고난 자질을 갖추었지만, 흉폭한 짐승과 같았다고 기록하고 있다.[20]
2. 2. 스웨덴 왕위 주장
에스트리센가 출신으로, 덴마크의 닐스 국왕과 그의 아내인 마르가레타 프레드쿨라(Margareta Fredkulla)의 아들로 태어났다.1125년 사촌인 잉에 2세가 사망하면서 스웨덴의 국왕으로 추대되었다.[8] 삭소 그라마티쿠스에 따르면, 망누스는 예타인(Götarna)에게 인정받았지만, 전통적으로 왕위 선택권은 예타인 북쪽의 스웨덴인(Svear)에게 있었다.[10]
베스트로고트 법전에는 잉에 2세 사후 스웨덴인들이 라그나르 크나프회브데를 선택했다는 기록이 있다. 라그나르는 에리크스가타 순회 중 인질을 제공하지 않아 예타인에게 무례를 범했고,[8] 1129년경 예타인에게 살해당했다. 이후 베스테르예틀란드의 법률 대변인 에드스바라의 칼이 이 지역을 다스렸으며, 자료에는 족장 또는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9]
삭소는 라그나르를 언급하지 않지만, 스웨덴인들이 망누스 선출에 대응해 왕을 선출했고, 그 왕이 예타인에게 살해되어 "그의 죽음과 함께 권력이 망누스에게 넘어갔다"고 주장한다.[10] 망누스는 스웨덴 왕 목록에 언급되지 않아 실제 권력 범위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11]
1131년 망누스는 덴마크 왕위 경쟁자였던 크누드 라바르(Knud Lavard)를 살해하여 덴마크 내전을 촉발시켰다. 이 사건으로 1132년경 스웨덴 왕위에서 물러났고, 외스테르예틀란드(Östergötland)의 대지주 가문인 스베르케르가(Sverker) 출신의 스베르케르 1세가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했다.
2. 3. 덴마크 내전
1131년 망누스는 자신의 사촌이자 덴마크 왕위 계승 경쟁자였던 크누드 라바르를 살해했다.[2] 이 사건은 덴마크 내전을 일으켰고, 망누스는 1132년경 스웨덴 왕위에서 물러나야 했다. 이후 외스테르예틀란드의 대지주 가문 출신인 스베르케르 1세가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했다.[16]1134년 6월 4일 스코네에서 벌어진 포테비크 전투에서 망누스와 그의 아버지 닐스는 에리크 에무네에게 패배했다.[17] 이 전투에서 망누스는 전사했고, 닐스 왕 역시 같은 해에 살해당했다.
2. 4. 포테비크 전투와 죽음
1134년 6월 4일 스코네에서 일어난 포테비크(Fotevik) 전투에서 망누스와 닐스 부자는 에리크 에무네를 상대로 전투를 벌였지만 패전했다.[1] 이 전투에서 망누스 1세는 사망했고, 닐스 국왕 또한 1134년에 살해당했다.[1]
3. 결혼과 후손
1127년경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3세 공작의 딸인 리헤자와 결혼했으며 슬하에 아들 크누드와 닐스를 두었다.
리크사와의 사이에 2명의 아들을 두었다.[1]
망누스 사후, 미망인이 된 리크사는 발트해 건너편으로 돌아가 류리크 가문의 민스크 공작볼로다리 글레보비치와 결혼했다.[1] 이후 리크사는 스웨덴으로 돌아와 망누스를 쫓아낸 스베르케르 1세와 세 번째 결혼을 했다.[1]
망누스의 아들 크누드 5세는 사촌인 스벤 3세와 덴마크 왕위를 다투었다.[1] 크누드 5세가 1157년에 사망했을 때, 망누스의 적통 후손은 단절되었다.[1] 크누드 5세의 서장자 닐스는 1180년에 사망했다.[1] 크누드 5세 사후에 태어난 서자로, 슐레스비히 주교, 브레멘 대주교였던 발데마르는 망누스 1세의 마지막 직계 남자 후손이었으나 1236년에 사망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Kings and Queens of Sweden — A thousand year succession
http://www.royalcour[...]
[2]
간행물
Dansk Biografisk Lexikon
https://runeberg.org[...]
1897
[3]
웹사이트
Magnus Nielssøn - Dansk Prins
https://denstoredans[...]
2024-01-10
[4]
서적
Kings and Rulers of Sweden: A Pocket Encyclopedia
http://archive.org/d[...]
Vincent Publications
1995
[5]
서적
Regesta Imperii Online
http://www.regesta-i[...]
[6]
문서
Danmarks kronike
[7]
문서
Magnus Nilsson
[8]
웹사이트
Västgötalagen
http://project2.sol.[...]
[9]
문서
När Sverige blev Sverige
[10]
문서
Danmarks kronike
[11]
문서
Sveriges historia till våra dagar
[12]
뉴스
Sigurd Jorsalfare
snl.no
Store norske leksikon
2005-2007
[13]
문서
När Sverige blev Sverige
[14]
문서
Danmarks kronike
[15]
문서
Wojny na Bałtyku X–XIX w.
1978
[16]
문서
Danmarks kronike
[17]
문서
Danmarks kronike
[18]
웹사이트
Monarkins historia
https://www.kungahus[...]
[19]
문서
Danmarks kronike
[20]
문서
Magnus Nilsson
[21]
웹사이트
Yngre Västgötalagen
http://project2.sol.[...]
[22]
문서
Danmarks kronike
[23]
문서
Danmarks kronike
[24]
문서
Danmarks kronike
[25]
문서
Danmarks kronik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